프로슈머76
프로슈머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IT 제품과 혁신적인 상품을 깊이 있게 리뷰하고, 여러분의 현명한 소비를 돕기 위해 다양한 정보와 팁을 제공합니다. 최신 기술 트렌드, 제품 비교, 사용 후기까지, 프로슈머의 눈으로 바라본 진솔한 정보를 만나보세요.

서울 버스 태그리스 결제 시범 노선 및 이용 방법 완벽 정리 (feat. 아이폰 유저의 슬픔)

교통카드 안 찍고 서울 버스 타는 시대가 왔어요! 태그리스 결제 시범 노선(36개)과 이용 방법을 모바일 티머니 앱 설정부터 쉽게 알려드립니다. 하지만 아이폰은? 1인 결제만 된다고요? 솔직한 기대와 아쉬움을 담았습니다!

여러분, 드디어 올 것이 왔습니다! 👋 서울 시내버스에서도 '태그리스(Tagless) 결제'가 시범 도입됐다는 소식, 들으셨죠? 양손 가득 짐 들고, 아이 손 잡고, 허둥지둥 카드 찾는 그 모든 불편함이 '그냥 타기만 하면 되는' 마법으로 사라진다고 하니, 와 이건 진짜 대박이에요! 

섬네일
섬네일

그래서 오늘은 태그리스 결제 이용 방법은 물론, 현재 이용 가능한 버스 노선과 아직 해결되지 않은 불편한 진실까지 싹 다 정리해 봤어요! 특히 아이폰 유저분들은 꼭 보세요! 

잠깐! 태그리스? 그게 뭐예요? <펼쳐보기> ⚙️

'태그리스'라는 이름처럼, 교통카드 단말기에 직접 카드나 폰을 갖다 대지 않아도(Tagless) 요금이 자동으로 결제되는 방식을 말해요.


태그리스 결제, 지금 당장 시작하는 초간단 이용 방법 5단계

"그래서 어떻게 해야 쓸 수 있는데요?" 네, 맞아요. 아무리 편해도 설정이 복잡하면 쓰기 싫잖아요? 딱 5분만 투자해서 설정하면 그 뒤로는 그냥 타기만 하면 끝이에요!

⚠ 잠깐! 이거 꼭 확인하세요!

(아이폰 유저는 눈물 닦고... ㅠㅠ)

현재 태그리스 결제는 아쉽게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만 지원돼요. 아이폰(iOS) 유저들은 현재로서는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점, 진짜 너무 슬픈 소식이에요. 😥

왜냐고요? 애플의 NFC 정책 때문에 '모바일 티머니' 앱이 교통카드 기능을 온전히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래요. 우리 아이폰 유저들에게도 하루빨리 이 편리함이 오기를 바라봅니다!

📲 태그리스 결제, 이렇게 시작하세요!

✅ 1. '모바일 티머니' 앱 설치: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모바일 티머니' 앱을 설치하고, 교통카드를 등록하거나 발급받아요.
(잔액 최소 3,000원 이상 필요해요)

⚙ 2. 앱 설정 진입:
앱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 '설정 아이콘'을 선택해요.

🚀 3. '태그리스 결제' 선택:
설정 메뉴 하단 팝업에서 '태그리스 결제' 메뉴를 찾아서 눌러요.

👍 4. '태그리스 결제 사용하기' 활성화:
안내 페이지를 확인하고 '태그리스 결제 사용하기' 버튼을 클릭!

🎉 5. ON 상태 확인 후 끝!
이제 앱 내에서 태그리스가 ON 상태인 것을 확인했다면, 스마트폰을 주머니나 가방에 넣고 버스나 지하철 단말기를 통과하면 자동으로 결제가 완료됩니다! 진짜 편해요!

💡 꿀팁 한 가지 더!

블루투스 기능은 항상 켜져 있어야 하고, 앱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위치 접근 권한은 '항상 허용'으로 설정해야 인식이 잘 된대요!

티머니 태그리스 설정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티머니 태그리스 설정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태그리스 결제, 지금 당장 이용 가능한 노선은 어디?

시범 서비스는 서울 시내버스 36개 노선, 약 590대 버스에서 시작됐어요. 내 출퇴근 노선이 포함됐는지 한번 확인해 보세요!

구분 노선 번호 (주요 예시)
지선버스 1132, 1226, 2212, 2224, 2233, 3214, 3322, 3414, 4211, 4433, 5519, 5528, 5621, 5630, 6613, 6632, 7011, 7018, 7713, 7739
간선버스 111, 121, 171, 240, 343, 405, 501, 502, 654, 660, 662, 704, 761
맞춤버스 8111, 8561, 8661

🗣 참고: 전체 노선 리스트는 '모바일 티머니' 앱이나 서울시 관련 공지에서 더 정확하게 확인하실 수 있어요!

시내 버스 교통카드 단말기 모습
시내 버스 교통카드 단말기 모습(생성형ai이미지)

🚉 지하철은 어디까지 왔을까?

버스보다 한발 앞서 지하철에서도 태그리스가 도입되고 있었어요!

🚉 태그리스 시스템, 어디까지 왔을까?

이미 상용화!
우이신설선 은 이미 2023년 9월부터 태그리스가 상용화되었어요!
(보문역은 아쉽게도 제외라는 점 참고해 주세요.)

시범 운영 중!
7호선 5개 역 (온수, 천왕, 광명사거리, 철산, 남구로)에서도 2025년 6월부터 시범 운영 중이랍니다.

🔜 확대 계획!
2025년 하반기 까지는 서울 지하철 1호선부터 8호선 전체 역으로 태그리스 시스템을 확대하는 실증 사업을 진행 중이래요. 정말 기대되죠?


편리함 뒤에 숨겨진 솔직한 아쉬움과 과제 (이건 꼭 알아야 함!)

"와, 좋다! 좋다!"만 외치기엔 아직 해결해야 할 숙제들이 좀 남아있어요. 진짜 사람이 쓴 블로그니까, 솔직하게 털어놓을게요.

1. 1인 전용 서비스, 다인승 결제는 여전히 불가

아니 진짜 이건 너무 아쉬운 부분이에요. 태그리스 결제는 오직 본인 한 명! '1인 1기기 전용' 서비스거든요. ㅠㅠ 아이와 함께 탄 부모님, 친구들 여럿이 함께 버스를 탔을 때 대신 요금을 결제해주는 '다인승 결제'가 안 돼요. 결국, 아이 요금을 내려면 기존처럼 다른 카드나 폰을 꺼내서 태그해야 한다는 거죠. 가장 편리해야 할 육아맘들에게는 여전히 큰 불편함이 남아있는 셈이에요.

2. 인식 오류와 이중 결제의 위험

블루투스 기반 기술은 NFC보다 인식 범위가 넓은 만큼, 인식률 문제나 오류 발생 가능성도 있어요. 사람이 붐비는 출퇴근 시간에 옆 사람 요금이 결제되거나(오결제), 승하차 신호가 겹쳐서 요금이 두 번 나가는(이중 결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요.

물론 티머니 측에서 기술을 계속 개선하고 있지만, 만약 결제 오류가 발생했을 때 환급이나 대처가 신속하고 명확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스템이 아직은 더 필요해 보여요. 저는 이런 문제 때문에 당분간은 폰을 주머니에 넣을 때도 살짝 불안할 것 같아요. (여러분도 그런 적 있죠?) 

3. 지역 간 호환성 문제 (경기 버스↔서울 버스)

경기도 광역버스에서도 이미 태그리스를 쓰고 있는데, 서울시 시스템과 호환이 안 된다는 문제도 있대요. 😥 경기도와 서울을 오가는 분들은 결국 태그리스가 됐다가 안 됐다가 할 수 있어서 혼란을 겪을 수도 있거든요. 얼른 서로 호환되게 통합해줬으면 좋겠어요, 솔직히!


마무리

서울 버스의 태그리스 결제 도입은 진짜 박수 쳐줄 만한 혁신이에요. 특히 교통 약자와 무거운 짐을 든 모든 사람들에게 새로운 편리함을 선사할 건 확실하죠.

하지만 제가 말씀드린 것처럼, 아이폰 유저 제외, 다인승 결제 불가, 그리고 인식 오류 가능성 등은 우리가 현실적으로 겪을 수 있는 불편함들이거든요.

저는 일단 제 안드로이드 폰으로 태그리스 설정을 해놓긴 했어요! 혹시 여러분도 오늘 퇴근길에 시범 노선 버스를 타게 된다면, 한번 사용해보고 어땠는지 솔직한 후기 좀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 쓰기

loading